인테리어 바닥재 마감에 관하여
실내 인테리어에서 사용하는 인테리어 바닥재는 크게 마루, 장판, 데코타일, 타일, 콘크리트로 나눌수 있다.
각 바닥재의 특성을 살펴보면 우선 마루는 충격을 흡수하는 정도가 뛰어나며 원재료 자체에 다량의 피톤치드를 함유하고 있어 쾌적하면서도 친환경적인 인테리어가 가능하다. 또한 나무의 질감과 색감으로 안락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는데 효과적이며 흠집이 생겼을 경우에도 샌딩 작업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수 있다. 단, 시공과 철거 기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장판의 경우 마루에 비해 경제적 이며 시공이 쉽고 습기가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마루에 비해서는 인테리어 효과가 크지 않으며, 내구성이 약해 수리, 보수 시 흔적이 남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데코타일은 흔히 말하는 PVC혼합 제품은로 시공 기간이 짧고 가격이 저렴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다양한 무늬를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판과 달리 부분적으로 보수가 가능하다. 단 혼합재인 만큼 관리 소홀 시 수축, 팽창이 일어날 수 있으며, 시공 후 바닥이 상당히 딱딱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오피스와 같은 업무 공간의 경우 PVC혼합 제품이 주로 사용된다. 타일은 시공이 간단하고 추후 균열이 나거나 변색하는 일이 거의 없는 내구성이 뛰어난 제품이다. 주로 욕실 등에 많이 시공하는데, 단점은 바닥이 매우 차 난방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특히 다른 바닥재에 비해 재질이 미끄럽고 딱딱하며 시공비가 많이 든다.
그밖에 이음새 부분에 때가 끼기 쉬워 관리가 까다롭다. 단, 타일형의 바닥재의 경우 염화비닐을 주원료로 사용해 일반적인 문양은 물론 대리석, 화강석, 나뭇결 등 다양한 패턴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주로 업무 공간 및 상업공간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콘크리트는 가장 흔하게 스이는 바닥재이며 시공 및 관리가 가장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화학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유해하게 작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빈티지 바닥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혹은 에폭시 코팅 작업을 해 광이 나게 만드는 기법도 사용된다.
한편 이 외에도 목재를 소재로 한 강화마루를 바닥재로 활용하는 경우도 많다. 강화마루는 HDF위에 나무무늬 필름을 붙여 목재이미지를 연출한것으로 나무에 잘게 부순 것을 접착해 목재 형태로 만든 제품을 말한다. 강화마루는 쿠션감 있는 PE 폼을 깐 뒤 그 위에 나무판을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생산되며, 최근에는 셀프 인테리어에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강화마루의 장점은 나무를 소재로 한 바닥재 중 가장 저렴한 편이며, 표면이 강하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또한 접착방식이 아니므로 본드를 사용하지 않으며, 개인이 다루기가 용이하다. 단점은 바닥면이 고르지 않게 시공될 경우 난방에 문제가 생길수 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강화마루보다 활용도가 높은 강마루는 합판위에 필름을 붙인 제품이다. 강화마루와 합판 마루의 장점을 합친 것으로, 표면이 강하고 수분에 약한 강화마루의 단점을 보완한 제품이다. 단 접착시 본드를 사용하며, 표면이 필름이라 사실상 원목에 비해 인테리어 효과가 다소 뒤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일명 온돌마루라고도 불리는 합판마루는 합판 위에 얇은 무늬목을 붙인 것으로, 원목마루보다 저렴하면서도 무늬가 자연스럽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표면이 약하며 변색할 가능성이 크다.
원목 마루는 합판 위에 2~3mm 이상의 두꺼운 원목을 붙인 것으로 원목 그대로의 무늬가 자연스럽다는 장점이 있다. 단 표면이 약하며 마루 중 가장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후로링은 통원목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말하며 수축이나 휨 현상이 발생할수 있어 바닥에 난방하지 않는 시설에 많이 사용한다. 후로링의 경우 사전에 각재나 합판으로 공정을 해야하며 용도가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하자가 생길 시에도 샌딩 작업을 반복해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