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공유

재가 의료급여 시범사업 모르면 손해

by 제이베어 2023. 1. 12.
반응형

재가 의료급여 시범사업에 대해 아십니까? 퇴원후에도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복지사업인데 모르시는 분들이 많은것 같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재가 의료급여 시범사업이란?

 

퇴원가능한 장기 입원 의료급여 수급자가 집에서도 불편함 없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의료, 돌봄, 식사 등의 재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재가의료급여시범사업

퇴원 후 받을 수 있는 재가 의료급여 서비스


 

V 의료: 건강관리와 상담지원

의사, 간호사 등으로 구성된 협력의료기관 케어팀을 통해 건강관리와 상담 등 의료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재가의료서비스

 

V 돌봄: 가사 및 간병 서비스 제공

퇴원 후 재가 생활에 어려움이 없도록 청소, 세탁 등 가사와 간병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재가돌봄서비스

 

V 식사: 도시락 등 식사지원

스스로 식사를 준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도시락과 밑반찬등을 제공하는데, 이때 건강상태와 영양 균형을 고려하여 식단을 제공합니다.

 

재가식사도움

 

V 이동: 외래 진료 시 이동지원

병원을 방문하여 외래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택시와 같은 이동 서비스도 지원합니다.

 

재가이동서비스

 

V 주거환경개선: 주거시설 정비 및 보수 (지자체별 제공상황 상이)

그 밖에도 집에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주거시설을 정비 보수합니다.

 

재가의료급여시범서비스

 

V 안전: 스마트홈 서비스 (지자체별 제공상황 상이)

스마트홈 서비스를 통해 응급상황 발생 시 대처가 가능할 수 있도록 안전관리가 이루어지며 냉난방 서비스도 지원합니다.

 

재가의료서비스

 

재가 의료급여 시범사업 제공 절차


1. 대상자 건강상태 및 필요도 파악

장기입원중이던 의료급여 수급자의 퇴원이 결정되면 협력의료기관 케어팀과 의료급여관리사가 기초조사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상태와 서비스 필요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케어플랜이 수립됩니다.

 

케어플랜이란?

대상자의 특성과 필요도에 적합한 건강관리와 돌봄 등을 지원하기 위한 계획을 말합니다.

 

2. 재가의료급여 서비스제공

케어플랜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공공 또는 민간자원을 활용하여 재가 의료급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건강 수준 및 생활환경 확인

대상자의 건강 수준과 생활환경을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힘씁니다.

 

이와 같이 재가 의료급여 시범사업은 의료급여 수급자가 퇴원 후 안정적인 지역사회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3년 재가 의료급여 시범사업은 80개 지역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재가 의료급여 시범사업 혜택 사례

 

요양병원에 입원중인 의료급여 수급자가  후유증으로 거동은 다소 불편했지만 퇴원할 수 있을 정도로 회복되었고 장기간의 병원생활에 지쳐 퇴원을 원하였으나 돌봐줄 보호자가 없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의료급여관리사로부터 재가 의료급여 시범사업을 안내받고, 퇴원 후 재가 생활에 적응하도록 도와준다고 하여 오랜 병원 생활을 끝내기로 결심하였습니다. 퇴원을 위해 협력의료기관과 의료급여관리사가 서비스 지원계획을 세우고 협력의료기관에서는 재가생활을 위해 기초검사등을 진행했습니다.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관리되지 않았던 집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소독하였으며,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안전을 위해 화장실과 현관복도에 안전봉을 설치하고, 스마트홈 안심기기와 119 안심콜도 지원하였습니다.

 

재가생활을 위한 준비가 끝난후 퇴원하였고, 요양보호사의 도움을 받아 식사를 준비하고 세탁과 청소등 가사도 지원받았습니다. 협력의료기관 케어팀의 도움으로 꾸준한 건강관리가 이루어지고 진료를 위해 병원방문 시 이동수단도 제공되었습니다. 이제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생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