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정보

인테리어 금속공사

by 제이베어 2022. 11. 10.
반응형

 

인테리어 금속공사

금속공사는 목공사의 내구성과 비용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개발되었으며, 구조물 조성, 붙박이 가구의 골조 조성, 창호 프레임 공사 및 수장용 공사 등 활용 범위가 넓다. 현재 인테리어 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금속공사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수 있는데 첫번째가 1차로 가공한 금속을 현장에 설치한 후 2차로 마감하는 방식이며, 두번째는 완제품 혹은 반제품 형태의 제품을 현장에서 조립하거나 설치하는 방식이다.

 

전자의 경우주로 등박스, 형틀, 문틀 제작 시 금속을 이용해 재단, 커팅, 절곡 및 용접 등의 공정을 거치며, 후자의 경우 집기 공사나 하드웨어 취부 시 활용된다. 인테리어 공사에서 금속시공은 벤딩, 절곡, V-커팅 등의 방식으로 외피를 감싸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금속재는 재료의 강도에 따라 시공 방식이 달라지는데 일반 금속재의 경우 녹막이 처리를 병행해야 한다. 또한 방청 도장은 공장에서 출고될 때 및 현장 설치 후 방청 페인트 도장을 하는 것이 원칙이며, 외부 혹은 외부의 면과 접하는 철 부분은 전부 아연도금을 해야한다. 이때 기성제품은 제외된다. 그밖에 종류가 다른 금속제품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네오플렌 와셔를 사용해야 하며, 여의치 않은 경우 접촉면 사이에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금속공사에 사용되는 제품들은 도면 위치에따라 설치되어야 하며 수직,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 또한, 이음을 할때는 철판을 보호하기 위해 나사에 맞는 납이나 황동으로 된 와셔를 사용해야 한다. 콘크리트나 석재 또는 다른 금속이 역청 페인트로 코팅된 면에 닿는 경우에는 부식 혹은 전기 분해 작용이 일어나기 쉬우므로 표면이 보호되도록 해야 하며, 절단, 용점, 납땜, 그라인딩 과정에서 손상된 마감은 마감처리를 하거나 페인트 피막을 보수해야 한다. 또한, 양질의 설치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작업 진행 과정 중 비틀림 실란트, 충진재, 단열재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해 금속공사를 할때는 크게 4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첫번째 방법은 절단으로, 이때 판재 및 파이프 절단은 수평 또는 수직을 이루어야 한다. 절단면은 절단되지 않은 표면의 면과 같인 처리해야 하며 절단 시 생성되는 요철 및 불순물은 제거하도록한다.

두번째 방법은 절곡으로, 반드시 설계도에 따라 V-커트를 한 후 절곡해야 하며, 이때 갈라지거나 손상된 제품은 사용할 수 없다. V-커트의 기준은 0.8mm보다 두꺼운 판재에 적용해야 하며, 깊이는 두께의 1/2을 기준으로 한다. V-커트의 폭은 최소 5mm로 이보다 더 좁게 절곡 하는것 은 불가능 하다.

세번째 방법은 가공조립으로 스테인리스 스틸 외피를 보강하는 스틸 판 및 파이프 간격은 0.2mm 이내로 해야한다. 또한 보조 프레임 및 기타 철재 고정은 볼트, 너트 조임이 원칙이며 부득이 용접해야 할때는 손상된 부분을 2회 이상 녹막이칠을 해야한다.

네번째 방법은 용접이며,각 부분별 용접 방법은 공작도에서 정하고 용접으로 손상된 면은 기계로 보수한다. 그밖에 마감재는 아르곤 아크 용접을 표준으로 하되, 저항 용접의 경우 접촉사항을 최대한 낮춘후 가압력을 높여 용접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경금속재로 금속공사를 할 경우에는 주로 절단을 사용하며, 두께가 1mm이하일때는 금을 그은후 기계 및 톱 등을 이용해 절단한다. 그밖에 연질재료로 두께가 1.5mm 이하이거나 경질재료로 두께 1mm이하의 판은 가위로 절단한다. 경금속재는 변형될경우 외관상 눈에 띄기 쉬우므로 가공 시 주의해야 하며 필요할때는 널을 사용해 보양한다. 

 

금속공사는 크게 구조틀 공사와 수장용 금속공사로 나눌 수 있다. 금속으로 구조틀을 세우면 목조틀에 비해 화재위험이 적고 현장에서의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있다. 구조틀 공사는 크게 천장틀과 천장 등박스, 구조물 보강, 각 파이프 골조시공, 빌트인 가구틀 제작으로 나눌수 있다. 먼저 금속으로 천장틀을 조성할 경우 일반적인 천장은 경량철골로 조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천장 전체가 라운드형이나 기타 다른 형태일 경우 스틸파이프와 스틸 판을 사용한다. 이때 주로 갈바 스틸을 절곡 또는 밴딩해 제작하며, 스틸브에 스탈판재를 용접해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천장틀을 용접할때는 요철을 제거한 뒤 퍼티 작업으로 고르게 마무리 하며, 천장틀 자체가 금속 구조물로 되어있는 만큼 하중을 지지하는 데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천장 등박스 또한 금속으로 조성할 경우 디자인적 측면에서 다양한 형태의 등박스를 제작할 수 있으며 갈라짐 현상도 예방할 수 있다. 등박스 중 천장 내부에 속하는 부분은 무게를 지탱 할 수 있도록 하중을 고려하는것이 중요하며 등박스 위치를 잡을때는 천장 면과 정확히 수평,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한다. 그외 등박스를 설치할 때는 달대 혹은 달대볼트를 이용해 고정해야 하며, 구조물을 가설피한 후 보당이 필요한 부분에는 각 파이프로 용접한다.

구조물 보강은 금속으로 조성되는 만큼 기존 건축물과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하며, 설치 후에는 조정이 까다로우므로 정밀하게 시공되어야 한다. 또한 구조물을 지지하려면 경량철골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스틸 각 파이프 또는 앵커볼트로 보강하며, 시멘트 몰탈로 금속파이프와 건축물 자체를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보강용으로 사용한 금속재는 방청도장을 하도록 한다. 각 파이프 골조 시공은 큰 하중을 견뎌야 하는 경우 내구성 및 내화성을 확보하기 위해 조성하며 각 파이프 골조 시공시 벽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외에 빌트인 가구틀을 제작할 때 역시 금속을 사용해 조성하며 천장틀과 마찬가지로 수평, 수직 등에 오차가 없도록 시공해야 한다. 빌트인 가구틀을 제작 할 때는 마감재 설치전 방청도장을 점검해야 하며 필요하다면 추가 도장을 하도록 한다. 

반응형

댓글